코딩/프로젝트 10

npm WARN deprecated tar@2.2.2 에러

여느 때와 같이 React를 사용한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 설치를 하고자 npm install -g create-react-app 명령어를 친 나는.. 새로운 에러를 발견하게 되었다. 처음 보는 에러라 ChatGPT에게 물어보았다. 라고 한다, 일단 제공해준 명령어를 쳐보니 뭔가 설치가 되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8857411/npm-warn-deprecated-tar2-2-2-this-version-of-tar-is-no-longer-supported-and-w npm WARN deprecated tar@2.2.2: This version of tar is no longer supported, and will not receive security updat..

코딩/프로젝트 2024.03.21

광고 중개 서버 개발

1주차 PBL 부트캠프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2주차에는 팀별로 광고 중개 서버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진행 과정 AD서버 개발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프레임워크 및 개발 환경을 정하고 지난 주에 만든 도식화 및 문장 정리 과정을 바탕으로 실제 우리의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 프로그래밍 언어 및 프레임워크 선정 첫날엔 각자 프로그래밍 언어와 프레임워크 등에 대해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나는 백엔드 - 스프링에 대해 조사하였고, 다른 팀원분들은 각각 Node.js와 Django를 조사하였다. 조사 내용은 여기에 : https://dusehd1.notion.site/Spring-55eac8a11d6148e0abda18dfa96811dd?pvs=4 Spring.동연 | Notion 스프링 프레임워크..

코딩/프로젝트 2024.02.29

[PBL 부트캠프] 1주차

* PBL이란? Problem-Based Learning, 문제기반학습이라고 한다. PBL의 개념을 처음 만드신 Barrows & Mayots(1993)은 "문제를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 글의 작성은 타코비 "매운타코"와 함께합니다. 다음엔 파타코사먹어야징 첫날 충격받아서 매일 블로그를 써야겠다 다짐했지만 매일의 진도가 정말 빠르고 이해하기 어려워 모든 수업이 끝나고 작성하기로 마음을 바꿨다. 이번 글에서는 첫 주차때 뭘 했는지 위주로 쓰고, 다음 글에서는 2주차때 뭘 했는지와 결과물, 3번째 글에서는 배운 것들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1탄 https://blog.naver.com/trustyourself1/223316553530 010..

코딩/프로젝트 2024.01.21

월간신천팟(2)

기능 소개 아카이브 매우 단순한 기능이다! 우리가 그동안 뭘 했는지 글로 작성하고, 해당 링크를 걸어주면 언제든 다시 볼 수 있다. 투표 월간 신천팟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투표 기능이다. 접속하게 되면 그 달의 후보가 나온다. 맘에 들지 않는다면 +버튼을 눌러 새로운 후보를 담을 수 있다. 투표를 마무리하게 되면 투표한 인원 수가 오른다. 아직 투표를 마무리한 사람이 없어 0/8임! 이후 후보의 오른쪽 공간엔 멤버별 프로필사진을 담을 생각이다. 아직 프로필사진이 없어 대체사진으로 등록.. 안타깝게도 등록 버튼이 깨져버렸다;; 전부 체크했다 생각했는데 실행해보니 이런 모습을 보면 더 꼼꼼한 검토가 필요해보인다. 암튼 저 ‘하고싶은거 말만해’부분에 하고싶은 것을 적고 등록하게 되면 후보로 등록이 된다. 본..

코딩/프로젝트 2023.11.16

월간신천팟(1)

❗️신천팟이란?))) 고등학교 2학년부터 현재까지 약 7년지기 친구들 8명의 모임 이름이다ㅋㅋ 어우 오글거려 제작 방식 리액트로 제작 웹앱 방식으로, 앱스토어에서 어플을 까는것조차 귀찮아할 우리 신천팟을 배려함 리액트 특성상 휴대폰 및 컴퓨터로 접속해도 괜찮을 것 지난 블로그 제작 시,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대폰으로 접속할 것이라는 것을 고려하지 못함. 싸이월드를 오마쥬하였는데, 싸이월드 특성상 고정된 크기의 웹 서비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휴대폰으로 접속 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음. 웬만한 사람들은 컴퓨터보다 모바일로 접속할 것이기 때문에 휴대폰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작해야 함. MVP 방식으로 최대한 빠르게 제작(3일컷) 시간도 없고 많은 기능 넣어봤자 신천팟이기 때문에 불편한 기능은 카..

코딩/프로젝트 2023.11.16

23년도 8월 프로젝트 : 블로그 기능소개

❗️❗️제작한 블로그는 https://cyblog.fly.dev/에서 접속할 수 있어요❗️❗️ 홈 화면 홈 화면이다. 왼쪽에는 좋아요를 누를 수 있는 버튼과 지금까지 좋아요가 눌린 횟수를 보여준다. 아래엔 각각 내 인스타, 깃허브, 티스토리 블로그를 링크해서 넣어두었다. 최근 글과 공지사항을 각각 3개씩 보여준다. 여기서 제목을 클릭하면 글을 보여줌! 최근 글, 공지사항 이외에 홈화면에 뭘 넣을까 생각하다 게임을 넣기로 했다! 초기엔 구글 크롬에 나오는 공룡 게임을 만들까 했었는데, 시간이 촉박하여 순발력 테스트 게임을 넣기로 했다. 1번째, 2번째, 3번째 시도를 하고 나면 평균 점수로 랭킹 등록도 할 수 있다! 프로필 화면 내 블로그니 내 소개가 한 페이지 정도 있어야 할 것 같아서 만들어 보았다. ..

코딩/프로젝트 2023.09.21

23년도 8월 프로젝트 : 블로그 만들기

1학기때 웹 관련 공모전을 나가고 싶었다. 팀을 모으고 뭔가를 해 나가고 싶은 의욕이 정말 넘쳤는데(팀원까지 받았었다).. 막상 내 실력을 생각해보니 딱히 해 놓은 것도 없고, 할 줄 아는 것도 아주 기본적인 것들만 있었다. 결국 중간고사 등 다양한 이유가 겹쳐 허무하게 포기하였다. 허무하게 목표가 날아가버리니 앞으로 내가 좋아하는 분야에 더 시간을 투자하여 공부하고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종강일 부터는 예전에 결제 해둔 인강을 들으며 유튜브 클론코딩을 짜 보았다. 약 한 달 정도의 시간이 걸렸는데, 무언가를 만들기 위한 코드를 어떤 생각을 하면서 짜는지 등을 배웠다. 처음으로 백엔드를 배웠고, Fly.io라는 서비스를 통해 인터넷에 내 웹 페이지를 배포하는 등(그 전까진 NAS가 ..

코딩/프로젝트 2023.09.21

린 스타트업이란?

린 스타트업이란? 'Lean'의 사전적 정의는 '여윈, 살 빠진, 뾰족한, 불충분한' 등이다. 부정적인 뉘앙스를 풍기지만, 린 스타트업에서 'Lean'의 의미는 '군살 없는, 낭비 없는'에 가깝다. 아주 작고 가벼운 조직이 빠르게 제품을 테스트하고 기민하게 움직여야 하기에 정말 필수적인 요소들만 갖춘다는 뜻이다. 린 스타트업의 프로세스 린 스타트업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돌아간다. 아이디어가 나오면 개발하여 제품을 만들고, 제품의 성과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뽑고 배울 점을 도출한다. 여기서 후속 아이디어가 나오고, 그 아이디어를 다시 개발하여 제품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아주 빠른 속도로 반복하는 것이 린 스타트업의 프로세스다. 핵심은 속도, 피드백, 반복을 통해 낭비를 줄인다는 것이다. 스타트업은..

코딩/프로젝트 2023.09.14

메타의 새로운 SNS, Thread :: 사용 후기 등

오늘(7월 6일), 드디어 메타의 새로운 SNS인 Thread(스레드)가 출시되었다. 스레드는 트위터와 유사한 텍스트 중심 SNS이며, 기존 대부분의 SNS들과는 다르게 탈중앙화 시스템을 채택했다. 세계 최대 SNS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을 보유하고있는 메타에서 시작한 서비스인만큼 기대치가 상당히 높은 상황인데, 실제로 사용해보며 느낀 점을 적어보기로 했다. 장점 1. 편리한 로그인 메타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으로 이미 전 세계적인 사용자수를 보유하고 있다. 때문에 이점을 살려 아주 간편하고 강력한 로그인 기능을 선보였다. 스레드에선 따로 회원가입이 필요하지 않고, 어플 실행 시 나의 인스타그램 계정 그대로 로그인을 할 수 있었다. 인스타그램 유저들에게는 실행 후 단 한 번의 클릭으로 회원가입이 가능..

코딩/프로젝트 2023.07.06
728x90